엔딩연구소

  • 전체보기
  • 네번째 여행
  • 퓨너럴뉴스
  • 수목장이야기
  • 엔딩노트
  • 방명록
엔딩연구소는 스스로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는 '가장 자신다운 삶의 마지막'을 위해 노력합니다.

신줏단지 1

신줏단지의 부활을 꿈꾸며

종묘가 임진왜란때 전소되었어도 이것만큼은 안전하게 보관을 했고, 병자호란때는 청나라군대가 이것을 약탈해가자 딸자식과 맞바꾸어서라도 기필코 찾아왔다고 합니다. 바로 '신줏단지'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혼(魂)은 하늘로 올라가고, 몸을 의미하는 백(魄)은 땅속으로 들어가 썩어 없어진다고 합니다. 혼은 부르면 오지만 백은 이미 썩어 없어졌으므로 대체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나온것이 신줏단지입니다. 이 신줏단지는 원래 나무로 만들어진 목함이었고 구멍이 뚤려있어 혼이 자유로이 드나 들어 백을 만날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목함이 아닌 도자기함에 쌀을 넣어두는 경우는 주술적인 의미로 원래의 신줏단지에서 변질된 것(혼을 가두는 것)으로 보입니다. 때가되서 혼과 백이 만나야 하는 날이오면, 혼(魂..

네번째 여행 2012.05.23 (2)
1
더보기
프로필사진

엔딩연구소는 스스로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는 '가장 자신다운 삶의 마지막'을 위해 노력합니다.

  • 전체보기 (185)
    • 네번째 여행 (82)
    • 수목장이야기 (24)
    • 퓨너럴뉴스 (39)
    • 엔딩노트 (40)

Tag

수목장, 엔딩노트, 서울추모공원, 장례식, 고독사, 염습, 고립사, 화장장, 장사법, 장례박람회, 골판지 관, 장례식장, 관, 유언장, 묘지, 자연매장, 장사등에관한법률, 장례, 유골함, 화장,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 내 죽음이 내 삶보다 더 가치 있기를 2019.11.12 15:06
  • 공동추모의 시대 2018.11.28 20:38
  • 화장대란이라고? 2018.11.19 13:18
  • 집에서 장례치르기 2017.09.19 12:57
  • 상속과 유언장 2017.09.04 14:52
  • 전통과 인습 2016.08.31 11:22

최근댓글

  • 세계에서 가장 큰 무덤은 진시황릉 아닌가요? 당장⋯

    멍멍멍

  • 좋은 책 추천드립니다. - 장례의 역사 | 저자 박⋯

    LMS10

  • 병원에 장례식장이 있는 이유는 조선시대부터 사람⋯

    ㅇㅇ

공지사항

  • 엔딩연구소 소개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 2019/11
  • 2018/11
  • 2018/02
  • 2017/12
  • 2017/10
  • 2017/09

Calendar

«   2021/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방문자수Total

229,059

  • Today : 3
  • Yesterday : 26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